AWS
https://example.com/ 이 실제로 있네?!
읽히는 블로그
2024. 12. 4. 18:20
AWS 강의를 들으면서 공부를 하고 있는데, 화면 캡쳐를 많이 하니깐 비공개로 정리하는데
그냥 공부하다가 혼자 신기해서 적어본다.
기초 도메인 공부를 하면서 https://example.com/ 를 예시로 많이 드는데, 실제로 있는 거라 신기했다.
DNS 흐름 정리하려고 하다가 들어가봤는데
이렇게 있네.
예제로 쓰라고 만든 도메인이다.
마무리하기엔 뭔가 짧으니, 도메인 적은겸, 조금 정리의 일부를
✏️DNS 주요 개념
DNS(Domain Name System) : 사람이 읽을 수 있는 문자열과 Internet 프로토콜 기반 정보를 매칭시켜주는 시스템을 말한다.
ICANN에서 관리
도메인 ?
대상의 IP 주소등의 정보와 맵핑되는 사람이 알아볼 수 있는 문자열
- 서브 도메인 : 도메인 중 스트링 앞에 추가 문자열이 붙은 도메인
- APEX 도메인 : 도메인 중 앞에 추가 문자열이 없는 순수한 최상위 도메인
- DNS 레코드 : 도메인이 어떤 방식으로 데이터와 매칭되는지 정의하는 기록
예시 ) A레코드 > IPv4주소, MX레코드> 메일 서버
- 도메인 존 : 도메인의 정보를 담은 레코드의 집합
- 도메인 파일 : 도메인 존 정보를 저장한 텍스트 파일
- DNS QUery : 주어진 도메인에 해당하는 정보를 요청하는 쿼리
- NS(Name Server) : DNS Query를 Zone File을 기반으로 응답할 수 있는 서버
- Authoritative ; DNS 정보의 원본을 가지고 있는 가장 최상위 NS 서버
- None -Authoritative : Authoritative NS 서버를 조회하여 정보를 보관하고 있거나 응답하는 서버(캐시) - DNS Resolver : 사용자와 NS 서버 사이에 위치한 서버로 실제 유저의 요청에 따라 IP주소 등의 정보를 확보하는 서버
- 유저의 클라이언트가 제일 먼저 쿼리를 요청하는 대상이며 보통 ISP가 관리
🔶Amazon Route53
라는 AWS 서비스가 있는데 서브 도메인이 다른 주소값 하나를 하나의 레코드로 생각하면 된다.
하나의 레코드를 다양한 리소스와 매칭할 수 있다.